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z세대정치
- 뉴웨이즈
- 야뇨
- 2030표심
- 김정인
- 책리뷰
- 검사지
- 당화혈색소
- 뉴닉
- 생성형AI
- 대통령선거
- 꼬리에꼬리를무는한국경제사
- 경제사
- 당뇨
- 혈당측정기
- 제미글로정
- 국민의힘
- 미래3.3g
- chatGPT활용법
- 21대대통령선거
- 어피티
- 혈당
- ChatGPT
- 이준석
- 권영국
- 이재명
- 2030표심의정석
- 메트포르민
- 넷플릭스
- 김문수
- Today
- Total
목록어피티 (4)
비지와 화딱지의 퇴근후 과몰입 아카이브
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경제사에서 흥미로운 주제들이 몇가지 있어서 소개합니다. 저는 20명~30명 규모의 중소기업에 재직중인데요, 중소기업 재직중인 대다수 2-30대 직장인들이 공감하지 않을까 싶어요. 🚩 Part2. 노동과 복지 - 2. IMF가 우리나라에 사과한 이유는공유경제, 긱 이코노미, 라이더, 플랫폼, 온디맨드, 크리에이터, 사이드잡, N잡러, 부캐N잡러, 부업과 달리 사이드잡을 여러개 굴리는 사람. 사이드잡이 본업보다 잘되면 사이드잡이 본업이 되기도 함. N잡으로도 충분한 소득이 나온다면 본업 회사를 때려치울 수 도 있음. 이런 가치관은 비정규직을 부정적으로만 여기지 않음. 덕분에 유튜버나 스트리머 등 ‘크리에이터’라고 불리는 직군이 새로 생겨나기도 함. 팬데믹 시기에는 온 디맨드로 근거리..
약 7천명의 청년들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21대 대통령선거 후보들에게 보내서 읽게하고,각 후보별 타운홀 미팅을 진행해 유튜브에 게시도 했네요. 정치 콘텐츠에서 2030을 타겟팅한 고퀄리티 콘텐츠가 나온다는 것 자체로 너무 좋았습니다!!👍👍👍👍 그취만.... 🤔 후보별 타운홀 미팅 후기 🤔 ❗ 아쉬운 점 ①: 변별력 없는 공약솔직히...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란, 예쁘게 포장만 잘 하면 다 좋아 보인다. 지키는게 문제지 공약으론 무슨 말을 못하겠나.이부분은 우리나라 정당정치의 한계점 이라고 생각됨. '주제별 한줄요약'은 누가누가 표현을 매력적으로 하는가 이지, 그걸로 후보별 정책과 입장을 평가할 수 없음. 타운홀미팅 콘텐츠의 한계 ❗ 아쉬운 점 ②: 뾰족한 질문의 부재"탄력근무제 어떻게 생각하..

2030 청년의 목소리를 후보자들에게 직접 전달한 대선 콘텐츠가 나왔습니다. 바로 뉴닉-뉴웨이즈-어피티(뉴뉴티)가 공동 기획한 프로젝트입니다.저는 어피티에서 경제,금융 소식을 뉴스레터로 받아보고 있는데요, 최근 설문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으로 시작하더라구요. 기획 자체가 너무 좋고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. (뉴뉴티 일 너무 잘하시는듯🫶🫶)사실 요즘 리서치 회사에서 전화오면 제대로 답변하시는 분들 계신가요? 저는 리서치 기관에서 전화오면 인사말도 듣기전에 끊어버리거든요;; 😞 😞 😞 업무시간에 일일이 답변하기도 어렵고, 지겨워서 싫었습니다;; 근데 어피티, 뉴닉의 구독자들을 보면 구독자들이 서비스에 대한 애정이 깊달까요. 마케팅의 관점에서 볼때 '충성도 높은 고객'이 많다는 느낌을 받습니다. 그런 ..

받아보는 뉴스레터 중에 경제지인 ‘어피티’ 가 있다. 괜히 읽고있으면 경제를 잘 알게 되는 것 같아서(?!) 기분이 좋은, 부수적인 즐거움이 있는 뉴스레터다. 근데.. 사실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이 나온다..!!!모르는 용어가 많아서 늘 기사 하나 읽으면 검색을 해야했다. (경제 용어 풀이 기능이 추가되면 좋겠다..!!) 경제를 좀 알고 싶다.. 하다가 어? 어피티에서 여론조사도 하네? 하다가어? 책도 냈었네? 어피티 제너레이션??하다가 그러다가 어피티 뉴스레터에 글을 쓰는 김정인 님이 경제 책을 낸 것을 찾게 되었다.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경제사V경제상식은 웬만큼 공부했다 싶은데 V재테크 실전도 좀 해봤다 싶은데 뉴스 보면서 ‘한국경제’ 왜 이러지 궁금했던 이들에게 - 28만 구독 금융·경제 레터 ..